출처: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13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문제
문제 설명
땅따먹기 게임을 하려고 합니다. 땅따먹기 게임의 땅(land)은 총 N행 4열로 이루어져 있고, 모든 칸에는 점수가 쓰여 있습니다. 1행부터 땅을 밟으며 한 행씩 내려올 때, 각 행의 4칸 중 한 칸만 밟으면서 내려와야 합니다. 단, 땅따먹기 게임에는 한 행씩 내려올 때, 같은 열을 연속해서 밟을 수 없는 특수 규칙이 있습니다.
예를 들면,
| 1 | 2 | 3 | 5 |
| 5 | 6 | 7 | 8 |
| 4 | 3 | 2 | 1 |
로 땅이 주어졌다면, 1행에서 네번째 칸 (5)를 밟았으면, 2행의 네번째 칸 (8)은 밟을 수 없습니다.
마지막 행까지 모두 내려왔을 때, 얻을 수 있는 점수의 최대값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 위 예의 경우, 1행의 네번째 칸 (5), 2행의 세번째 칸 (7), 3행의 첫번째 칸 (4) 땅을 밟아 16점이 최고점이 되므로 16을 return 하면 됩니다.
제한사항
- 행의 개수 N : 100,000 이하의 자연수
- 열의 개수는 4개이고, 땅(land)은 2차원 배열로 주어집니다.
- 점수 : 100 이하의 자연수
입출력 예
풀이
최댓값 or 최솟값을 구하는 이런 유형(?)은 dp를 활용하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.
dp 테이블에는 i행에서 각 열을 선택했을 때의 최대 점수가 들어가게 됩니다. 땅이 4열 밖에 없기 때문에 각 열을 선택했을 때의 최댓값을 하나씩 구하면 됩니다.
1행에서는 자기 자신의 점수가 1행에서 각 열을 선택했을 때의 최대 점수가 됩니다.
2행에서는 1열을 선택했다면 1행에서는 2열, 3열, 4열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3개 중 최댓값을 2행 1열의 값에 더하면 2행 1열을 선택했을 때의 최댓값이 됩니다.
마찬가지로 2행에서 2열을 선택했다면 1열, 3열, 4열 중 최댓값을 더하면 됩니다.
따라서 점화식은 아래처럼 구할 수 있습니다.
- dp[i][0] = land[i][0] + Math.max(dp[i-1][1], dp[i-1][2], dp[i-1][3])
- dp[i][1] = land[i][0] + Math.max(dp[i-1][2], dp[i-1][2], dp[i-1][3])
- dp[i][2] = land[i][0] + Math.max(dp[i-1][1], dp[i-1][2], dp[i-1][3])
- dp[i][3] = land[i][0] + Math.max(dp[i-1][1], dp[i-1][2], dp[i-1][2])
위 점화식으로 N행까지 구하고 dp의 N행의 4개 열 중 최댓값을 고르면 최고점이 됩니다.
소스코드
1. dp 테이블을 만들어 푸는 방식
위에서 설명한 방법처럼 dp 테이블을 만들어 풀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class Solution {
int solution(int[][] land) {
int answer = 0;
int N = land.length;
int[][] dp = new int[N][4];
dp[0][0] = land[0][0];
dp[0][1] = land[0][1];
dp[0][2] = land[0][2];
dp[0][3] = land[0][3];
for(int i=1; i<N; i++){
dp[i][0] = land[i][0] + Math.max(Math.max(dp[i-1][1], dp[i-1][2]), dp[i-1][3]);
dp[i][1] = land[i][1] + Math.max(Math.max(dp[i-1][0], dp[i-1][2]), dp[i-1][3]);
dp[i][2] = land[i][2] + Math.max(Math.max(dp[i-1][0], dp[i-1][1]), dp[i-1][3]);
dp[i][3] = land[i][3] + Math.max(Math.max(dp[i-1][0], dp[i-1][1]), dp[i-1][2]);
}
return Math.max(Math.max(Math.max(dp[N - 1][0], dp[N - 1][1]), dp[N - 1][2]), dp[N - 1][3]);
}
}
2. land 배열을 dp 테이블처럼 사용하는 방법
사실 land 배열을 한번만 돌면서 점수를 구하면 되기 때문에 dp 테이블을 따로 만들지 않고 land 배열에 값을 더해가면서 풀면 코드가 더 간결해집니다.
class Solution {
int solution(int[][] land) {
int answer = 0;
int N = land.length;
int[][] dp = new int[N][4];
for(int i=1; i<dp.length; i++){
land[i][0] += Math.max(Math.max(land[i-1][1], land[i-1][2]), land[i-1][3]);
land[i][1] += Math.max(Math.max(land[i-1][0], land[i-1][2]), land[i-1][3]);
land[i][2] += Math.max(Math.max(land[i-1][0], land[i-1][1]), land[i-1][3]);
land[i][3] += Math.max(Math.max(land[i-1][0], land[i-1][1]), land[i-1][2]);
}
return Math.max(Math.max(Math.max(land[N - 1][0], land[N - 1][1]), land[N - 1][2]), land[N - 1][3]);
}
}
시간이나 공간도 dp 테이블을 만들어 풀었을 때보다 더 효율적입니다!
'Programming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Lv 2. 뒤에 있는 큰 수 찾기 (Java) (0) | 2023.07.01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Lv 2. 방문 길이 (Java) (1) | 2023.07.01 |
[프로그래머스] Lv2. 주차 요금 계산 (Java) (0) | 2023.07.01 |
[프로그래머스] Lv2 - n진수 게임 (Java) (0) | 2023.06.29 |
[프로그래머스] 17686번 - 파일명 정렬 (Java) (0) | 2023.06.29 |